연재 080 약선식품 동의보감 등자, 금등(金橙), 황과(黃果), 첨등(甛橙)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2024. 7. 23. 06:00의학_양봉_부동산

728x90
반응형

연재 080 약선식품 동의보감 등자, 금등(金橙), 황과(黃果), 첨등(甛橙)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성미: 성질은 시원하고 맛은 시고 달다.

*귀경: 폐경으로 들어간다.

*효능

흉곽을 넓혀주고 위를 편하게 하며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오심, 구토를 막아주고 술을 깨게 하는 효능이 있다.

*적응증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나 옆구리 부분이 창만하고 오심, 구토증상이 있으며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에게 적합하며 <식료본초>에서는 “료영기(療癭氣)”라고 하여 영류(癭瘤)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하였다고 하였는데 갑상선종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배합의기(配合宜忌)

경험에 의하면 등자는 수탉과 동시에 섭취하면 안 된다고 하였다.

*주의사항

당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당뇨병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경봉원>에서는 "학한열금식" 이라고 하여 학질에는 먹지 말라고 하였으며 <본초강목습유>에서는 연주창에는 좋지 않다.

*약선응용

1. 등병 - 등자 1Kg, 생강 60g, 감초 30g, 단향목 15g, 등자의 씨를 제거하고 잘게 부수고 생강은 편으로 잘게 썰고 감초와 단향목은 가루로 만들어 모두 섞어 병처럼 만들어 말려서 먹는다. 중초를 넓히고 기운을 아래고 내리며 기침을 멈추게 한다.<식헌홍비>

2. 등주 - 첨등 1개, 황주 10g, 첨등을 껍질고 씨를 제거하고 즙을 짜서 황주을 넣어 마신다. 유선염, 홍종경결, 동통(疼痛) 등에 좋다.<백병가정음식요법대전>

3. 등고 - 황등 120g에 설탕을 넣고 졸여서 먹는다. 숙취해소에 효과가 좋다.<식헌홍비>

4. 등자탕 - 등자 1개, 물 50g. 먼저 등자를 물에 담가 신맛을 제거하고 잘게 썰어 물에 끓인 후 꿀을 타서 먹는다. 습이 쌓여 담이 생기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상견심폐질환의식료>

*참고문헌

<<옥추약해>>: 흉곽을 넓혀 기운이 잘 통하게 하며 숙취에 좋다.

<<본초강목습유>>: 등자병은 담을 삭이고 기운을 아래로 내리며 중초를 편하게 하고 소화를 도우며 견비작용과 해산물의 독을 풀어주며 숙취를 제거한다.

*기타

등자는 한의학적으로 간기(肝氣)울결(鬱結)증에 효과가 있고 기체(氣滯)증에 좋으나 기허에는 좋지 않다, 여성들의 간경에 기체가 되어 나타나는 유방(乳房)창통, 매핵기, 편두통, 생리통에 효과가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