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059 약선식품 동의보감 들깻잎, 자소엽(紫蘇葉), 소엽(蘇葉), 적소(赤蘇) 의 효능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4. 6. 10. 06:00의학_양봉_부동산

728x90
반응형

연재 059 약선식품 동의보감 들깻잎, 자소엽(紫蘇葉), 소엽(蘇葉), 적소(蘇) 의 효능에 대해 알아봅니다.

성미: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다.

귀경: 폐경, 비경으로 들어간다.

*효능

땀을 내고 한기를 쫓아내며 기의 운행을 활발하게 하고 위를 튼튼하게 하며 생선이나 게의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적응증

풍한감기에 걸려 열이 나면서 오한이 들고 추위를 두려위하는 사람에게 적합하고 땀이 나지 않거나 기침이나 재체기를 하고 콧물이 흐르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위가 차서 위통이 있거나 뱃속이 답답하고 장에서 소리가 나거나 복통설사를 하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으며 식욕부진인 사람에게도 좋다. 그리고 생선요리나 꽃게, 방게, 등 어패류를 요리할 때 독을 해독하고 향을 좋게 하며 임산부의 태동불안이나 각기병에 효과가 있다.

*배합의기(配合宜忌)

1, 깻잎과 어류, 새우, 게 조개 등 독성이 있는 어패류를 배합하면 독성을 없애고 비린내를 제거하며 부패를 방지한다.

2, 돼지간과 깻잎 - 눈이 침침하고 어지럼증 등에 효과적이며 청열해독작용이 강하게 된다.

3, 풍한감기에는 게지, 강활을 배합한다.

4, 비위한증(脾胃寒症)에는 고량강, 후추를 배합한다.

5, 위한구토(胃寒嘔吐)에는 반하를 배합한다.<금궤요략, 소반하탕>

6, 폐한(肺寒)기침에는 미황, 행인을 배합한다.<화제국방, 삼요탕>

*주의사항

풍열감기에 사용하면 좋지 않고 허증으로 땀을 많이 흘린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본초통현>에서는 “오래 복용하면 진기(眞氣)를 소모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약선응용

1, 소엽생강차 - 자소엽 5g, 생강 30g을 넣고 물에 끓여 차로 마신다. 풍한감기나 복통설사, 구토, 어패류해독에 사용한다.

*참고문헌

<명의별록>: 기운을 아래로 내리고 중초의 한기(寒氣)를 몰아낸다.

<전남본초>: 땀을 내고 풍으로 인한 두통을 해소하며 담을 줄이고 천식을 멈추게 한다.

<본초강목>: 중초를 넓히고 기운을 활발하게 하며 담을 없애고 폐기를 잘 통하게 한다. 혈

을 편하게 하고 중초를 따뜻하게 하며 진통작용이 있고 천식을 멈추게 하며 태아를

안정시킨다.

*기타

자소엽은 방부능력이 강하고 어류나 패조류로 인한 중독을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생선류나 갑각류 요리할 때 자소엽을 넣으면 비린내를 제거하고 중독을 예방하고 변질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해열작용이 있으며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장의 유동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기관지 분비액을 감소시키고 기관지 경련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대장간균, 이질간균, 포도상구균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혈액응고 시간을 단축시킨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