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067 약선식품 동의보감 감 미과(米果), 후조(猴棗), 홍시(紅柿), 대개시(大蓋柿)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2024. 6. 26. 06:00의학_양봉_부동산

728x90
반응형

연재 067 약선식품 동의보감 감 미과(米果), 후조(猴棗), 홍시(紅柿), 대개시(大蓋柿)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성미: 생감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고 떫으며 곶감은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며 시상은 성질은 차고 맛은 달다.

귀경: 심장경, 폐경, 대장경으로 들어간다.

*효능

생감은 열을 내리고 폐를 윤택하게 하며 진액을 만들고 갈증을 풀어주며 해독작용이 있다. 곶감은 폐를 윤택하게 하고 지혈작용이 있으며 건비작용과 삽장작용이 있다. 시상은 폐를 윤택하게 하며 기침을 멈추게 하고 진액을 만들며 인후를 잘 통하게 하고 지혈작용이 있다.

*적응증

생감은 폐열로 기침을 하는 사람이나 토혈에 효과가 있으며 열병으로 갈증이 나는 사람, 구창(口瘡), 열성이질, 변혈에 효과가 좋다, 곶감은 각혈, 토혈, 변혈, 혈뇨에 좋으며 비장이 허약하여 소화불량이 있거나 설사, 이질에 좋으며 목이 쉬거나 얼굴에 기미가 많은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 시상은 폐가 건조하여 마른기침을 하거나 목이 마르고 아프며 입안이나 혀에 창이 생기고 토혈, 각혈, 소갈증에 효과가 있다.

*배합의기(配合宜忌)

1, 방게와 함께 먹으면 복통설사가 일어난다.(고대해석에 의하면 두 가지다 성질이 크게 차서 설사가 난다고 하였으며 현대 의학은 감에 들어있는 유산(鞣酸)이 방게이 풍부한 단백질이 결합하여 응고된 물질이 위장에 쌓여 복통설사를 일으킨다고 한다)

2, 우렁이에 감을 배합하면 소화흡수가 나빠지고 위가 불편하다.

3, 낙지와 감을 배합하면 낙지의 성질은 차고 감의 성질도 차서 동시에 먹으면 복통설사가 나기도 하며 또한 낙지는 고단백식품인데 감의 타닌과 만나면 구토, 복통,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4, 해삼과 감을 배합하면 복통이나 구토증이 일어난다.

5, 감과 고구마는 두 가지 식품을 따로 섭취하면 건강에 좋지만 같이 먹으면 인체에 불리하다. 고구마를 먹으면 위에서 대랑의 위산이 분비되는데 감을 먹으면 위산과 결합하여 불용성물질을 만들어 소화가 잘 안되고 배출이 어려워 많이 쌓이면 수술을 해야 한다.

6, 감과 술을 배합하면 술은 자극성 식품으로 위나 장의 분비물을 증가시키는데 감의 카닌과 결합하여 불용성 물질을 만들어 장을 막는다.

7, 감을 먹은 후 산성식품을 먹으면 위석증이 생긴다.

8, 감자와 감을 배합하면 소화가 안 되고 위 결석을 초래한다.

*주의사항

당뇨병환자나 평소 비위가 찬사람, 복통설사나 변이 묽은 사람, 찬바람에 감기가 걸린 사람, 갈가 많고 기침을 하는 사람은 먹으면 좋지 않으며 생리기간이나 몸이 차서 생리통이 있는 사람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약선응용

1, 감음료 - 감 500g, 설탕 30g을 넣고 음료를 만든다. 청열, 윤폐, 갈증을 멈추는 작용이 있으며 기침이 나거나 토혈, 구창에 효과가 있다.<백병가정음식요법대전>

2,곶감밥 - 곶감 2개, 쌀 100g을 넣고 죽을 끓인다. 구역질이 나거나 구토증상에 좋다.<중의식료영양학>3,곶감등초탕 - 곶감 2개, 동초 6g, 설탕적당량을 넣고 탕을 끓인다. 청열리뇨, 止血통임작용이 있어 방광염, 요도염, 요혈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가정식료방1100종>

*참고문헌

<<명의별록>>: 연시는 술독을 풀어주고 입이 마른 증상을 없애고 위열을 내린다.

<<일화자본초>>: 심폐를 윤택하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하며 腸을 수축시키고 폐위(肺痿)을 치료하고 심장의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담을 없앤다.

<<수식거음식보>>: 신선한 감은 달고 차서 폐와 위의 음을 보하며 몸이 마르고 화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곶감은 달고 시원해서 폐열을 내리고 토혈, 갈혈, 기침, 상소(上消), 인후, 구창을 치료한다.

 

 

 

#약선식품 #동의보감 #감 #미과米果 #후조猴棗 #홍시紅柿 #대개시大蓋柿 #해열 #폐윤택 #진액생성 #갈증해소 #해독작용 #지혈작용 #건비작용 #삽장작용 #기침멈춤 #인후소통 #폐열 #토혈효과 #열병갈증 #구창口瘡 #열성이질 #변혈 #각혈 #토혈 #변혈 #혈뇨 #비장허약 #소화불량 #설사 #이질 #쉰목 #얼굴기미 #마른기침 #목마름 #입안혀창 #소갈증 #감음료 #청열 #윤폐 #백병가정음식요법대전 #곶감밥 #중의식료영양학 #곶감등초탕 #청열리뇨 #토혈止血통임작용 #방광염 #요도염 #요혈 #가정식료방1100종 #명의별록 #일화자본초 #수식거음식보 #상소上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