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3 여보게 김서방 3 한국 민속론

2023. 12. 6. 06:00마음공부_책_기타

728x90
반응형

연재 3 여보게 김서방 3, 최래옥 지음. 한국 민속론

12. 풍수지리 : 시조 석탈해, 왕건, 도선

·지모신 사상, 경전으로 「청오경」 「금낭경-천기누설」 “기는 바람을 타고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그친다. 옛사람은 기를 모아 흩어지지 아니하고 정지하게 한다. 이것을 풍수라 한다. 풍수의 법은 곧 득수(得水)가 제일이며, 그다음은 바람잡기 곧 장풍(藏豐)이다.”

·풍수의 여섯 단계

①간용법(看龍法) : 높은 데서 산을 내려다본다. 단맥(斷脈),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

②장풍법(藏風法) : 병풍처럼 둘러싸여 바람을 잡아 둔다.

③득수법(得水法) : 물이 천천히 흐르되 꼬불꼬불 흐르는 곳

④정혈법(定穴法) : 점혈법(침 놓을 자리를 찾는 곳), 명당혈(솟은혈-돌혈(突穴),유혈(乳穴), 들어간 혈(남비 같은 와혈窩穴), 겸혈(鉗穴)

⑤형국론(形局論) : 금계포란형(金鷄抱卵刑), 와우형(臥牛刑-신촌), 금귀몰니형(金龜沒泥刑), 장군대좌형(將軍大臺刑), 옥녀직금형(玉女織錦刑), 복호형(伏虎刑), 잠두형(蠶頭形-남산,잠실,잠원), 사두형(蛇豆刑), 행주형(行舟刑)

⑥좌향론(坐向論) :나침반, 나경(羅經)

·명당 자리를 잡는 이유 : 수귀부 다남자(壽貴富 多男子), 우리나라 설화의 1/10이 풍수설화

13. 소

·고약한 소 : 찌러기, 남원 찌럭더기 찌럭소, 광주 뿌락대기, 영남 강원 뜬소, 황해도 찌릉소, 찌러기는 코뚜레로 다스려라.

·심우도(尋牛圖) : 잃어버린 자신을 찾으라

14. 사냥

·서제(噬臍) : 일을 한번 그르치면 후회해도 소용없다. 사향노루가 배꼽을 물어뜯으려 해도 소용없음. 서제막급, 서제무급

·사냥용 ‘보라매’, 메 ‘산진이’ 어린 새끼 ‘수진이’ 북한지방 사납고 용감한 매 ‘해동청’ 평안도 ‘시치미’ 다리에 이름표를 달고 시치미를 뗀다

15. 족보

·관행(貫行) : 본관, 시초 삼소(소순, 소식, 소철) 북송(北宋) 대(代) 족보 편찬

조선조 양성지(남원 양 씨) 성종 때 김종직(선산 김 씨) 부전, 명종 문화 류씨 「가정보(嘉靖譜)」 가 최고(最古)의 민간 족보임, 현재 250여 개의 성씨가 있음, 1979년 하버드 와그너 박사가 발견한 안동 권씨 족보 「성화병신보」 가 더 오래된 것으로 판명됨.

·보학을 하는 이유는 사교, 출세, 학문과 혼인의 핵심 역할을 함.

·가장 높은 조상, 비조(鼻祖), 시조, 중시조, 부락을 개척한 입향조(入鄕祖), 입도조(入島祖)가 있음

·퉁두란 장군 청해 이 씨 시조(이지란), 가등청정 선봉장 사야가(김충선-김해 김씨 파조)는 귀순 후 청나라와 싸워 전공을 세움, 소정방 휘하 이무(당태종의 아들) 장군은 연안 이씨 시조

·단군 이하 6천만 명, 2백 대 할아버지가 있으며, 2천 년 내려온 90대 김해 김씨는 80촌이 존재함

16. 부처님

·칠월 백중(우란분재), 시월 십일일 팔관회 개최, 49재, 초파일 등달기 행사

·석보상절(釋譜詳節) : 석가의 족보를 상세히 풀이, 석가의 일대기, 세종이 수양대군, 김수온을 시켜 왕비 소헌왕후의 극락왕생을 기원

·불교가 민간에 끼친 사상은 허무를 알게 한 점이다. 허무란 소극적인 움츠림이나, 비극, 염세가 아닌 인생의 본질을 크게 파악하여 지금의 고난(苦難)도 내새를 바라보면서 극복한다는 적극적인 자기인식이다.

·불교의 수 : 대수(大數), 일, 십, 백, 천, 만, 억, 조, 경, 해, 자, 양, 구, 간, 정, 재, 극, 합하사, 아승기, 나유타, 불가사의, 무량대수(10의 64승), 반대말로는 순간 찰라

·겁(劫) : 한 번의 천지개벽에서 다음번에 올 천지개벽 사이, 일 겁, 삼겁, 만겁, 무량 수갑, 영겁, 영원(永遠)

·삼국유사 : 노흘부득, 달달 박박 → 미인 출현, 관세음보살의 화신, ‘십년 공부 도로 아미타불’ 젊은 중이 아리따운 처녀와 청혼하여 동거 후 10년 되는 밤 파랑새가 되어 날아감

17. 민간요법

·수복(壽福) 강녕(康寧), 마늘은 반만년전 고조선을 탄생시킨 인간과 국가의 탄생 보약

·열다섯 이전 아이의 동뇨(童尿)를 효종 때 송시열이 사약도 물리치다.

·여름철에 입맛이 떨어지면 익모초를 달여 먹음, 식전에 쑥 잎을 따 즙을 내 먹으면 위자이 튼튼해짐. 허리 아픈 데는 진달래 뿌리를 약으로 씀

 

참고문헌 : 이선주 한국민속학, 정현우 신비의 운명학, 장지연 한국 기인열전, 이기문 속담 사전

 

© howier, 출처 Unsplash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