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1 여보게 김서방 1, 한국 민속론

2023. 12. 4. 06:00마음공부_책_기타

728x90
반응형

연재 1 여보게 김서방 1, 최래옥 지음. 한국 민속론

 

1. 첫날밤

·동상례 : 사위 신고식, 진나라 왕희지 전기에서 유래됨. 신랑 달기(고려 시대 유래), 어찌 동상을 이뤄 예(禮)에 따라 폐백이 없으리오

동(東) - 만물이 생성하는 중요 장소

상(床) - 부부가 백 년 해로하는 상(밥상, 침상, 가옥)

·단자법 : 강원도 고성, 정선, 신랑 측 집안을 시험하기 위해 한시나 그림을 풀이하라는 방식임.

·폐백 때 축하객들이 밤과 대추를 신랑 주머니에 넣어주고 신방 요기상에도 오른다. 밤은 아들을 많이 낳으라는 뜻과, 대추는 늙지 말고 혈색 좋으라는 뜻이 담겨있다.

밤과 대추의 개수는 셋이나 일곱 같은 홀수 이어야 한다.

·월하노인(月下老人) : 혼인신, 운명을 주재, 청실 남자와 홍실 여자를 묶어 짝지어 줌

 

2. 도깨비

·도깨비감투 : 늘 텅 감투, 회색 시간에 나타나는 사람과 귀신의 중간 자리

·도깨비 구성요소 : 피와 땀이 묻은 부지깽이, 빗자루, 몽당비, 여성의 달거리(月經-절반은 죽은 피)

·가장 좋아하는 음식 : 메밀묵 (귀신은 떡, 사람은 밥)

·도깨비는 영리함과 바보스러움, 웃음과 분노, 지적이면서 정적인 성향

·결코 두 번은 속지 않는다.

·성씨는 김 씨이다. (당나귀는 정 씨, 노루 장 씨, 쥐 서 씨, 멧새 최 씨)

 

3. 출산

·딸 : 조개, 도끼, 배 지나간 자리, 도끼가 패인 것, 숯검댕, 그저 그래야~

·아들 낳으면 고추 셋 숯 세 개를 교대로 매달아 놓음. 딸을 낳으면 숯셋과 솔가지 셋을 매달아 놓음, 붉은색은 남자 아니 숯검정은 여자아이

·미역국 효능 : 산모에게 소화가 잘되고, 지혈 효과, 피가 되는 옥소(沃素) 생성, 이가 나빠진 산모가 씹는 일 없이도 먹을 수 있으며, 아기에게 모유를 통해 칼슘을 전달함.

·젖 문을 열려면 돼지족이 으뜸이니, 붕어나 잉어를 고아 먹이기도 하며, 곶감이나 대추를 고아 먹이기도 한다. 상추 줄기도 삶아 먹는다.

4. 이름

·호사유피(虎死留皮) 인사유명(人死留名)

·부모가 지어준 이름에는 부모가 자식에게 바라는 뜻이 있고, 그 뜻은 은연중에 잠재 의식화 되어서 아름답게 살도록 평생 강요한다.

·이름 관련 문헌 : 제망매가(월명사), 혜성가(융천사), 안민가(충담사), 원가(신충), 도원수 대비가(희명-어린 자식이 눈떠 광명천지 보기를 희망), 우적가(미상), 원효(아들 설총, 민간 불교의 첫 새벽을 염), 백제 무왕(서동(璋)-구슬 왕자, 선화공주)

5. 점

·중국 해 금 까마귀(金 烏)

연오(延烏) 대오(大烏) : 해, 해님 왕자

세오(細烏) 소오(小烏) : 달, 달님 아씨

관상감 : 첨성대에서 천체관측, 앞일 예언, 주술적 구실

고구려 태사국(太史局), 고려 사천대(司天臺), 조선 서운관(書雲觀)

·점쟁이 : 신라 일관, 백제 일자 무자(巫者), 고구려 일자, 사무, 무(巫) 조선 복자(卜者) 박사(博士)

·점이란 미래에 닥쳐올 불행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지금보다 더 부자로, 더 건강하게, 더 보람 있게, 더 출세해서 살고자 하는 욕망에서 출현한 문화 현상이다.

·손은 날짜에 따라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사람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음력 초하룻날, 초이튿날에는 동쪽에 손이 있고, 사흗날과 나흗날에는 남쪽에 있으며, 닷샛날과 엿샛날에는 서쪽에 있다. 이래 날과 여드렛날에는 북쪽에 있고, 아흐렛날과 열흘 날에는 손이 없다. 이와 같이 중요한 집안 행사를 신중하게 하라는 뜻이다.

·점술 기구의 하나인 첨 통은 벼락 맞은 박달나무로 만드는 것이 원칙이다

·눈썹이 많으면 형제복이 있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 봄이 오니 행복해, 양이 오니 경사야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 : 마당 쓸면 황금 나오네, 대문 열면 복이 오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