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014 조선왕조실록 단박에 읽는 조선왕조사 역사의 숨결 - 조선시대 작위 및 품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4. 3. 5. 06:00백촌 김문기 선생 조선왕조실록

728x90
반응형

연재 014 조선왕조실록 단박에 읽는 조선왕조사 역사의 숨결 - 조선시대 작위 및 품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장희빈

역사의 숨결

나무가 흔들리면 새들이 날아가고

고기가 놀라면 물이 흐려진다.

그래도 바람은 소리를 만나고 싶다.

하, 우습구나!

 

궁중의 파노라마

대궐은 고요하나 때로는 회오리바람이 일기도 하여 궁 밖에 피어 있는 들꽃이 바람에 실려 궁 안에서 꽃을 피욱기도 한다.

조선의 3대 요화는 장록수(연산군), 김개시(선조~광해군), 장희빈(숙종) 이다.

김개시

오늘은 조선시대 초기 작위 및 품계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작위와 품계를 알아야만 조선왕조실록을 이해할 수 있다.

직무가 없는 문무당상관에게 녹봉을 주기 위해 중추원, 국왕의 종친, 외척을 위한 부서로 돈녕부를 둔다.

정1품에는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영의정, 좌의정(이조,예조,병조 관할), 우의정(호조,형조,공조 관할)이 있다. 이 3정승을 재상이라 한다. 그 밖에 중추원 영사, 세자사부(3정승이 겸임), 부마, 국구, 춘추관 감사(영의정이 겸임), 돈녕부 부사가 정1품으로서 조선 최고의 공직자이다.

종1품에는 중추원판사, 의금부 판사, 좌찬성, 우찬성, 종친인 숭정대부, 가덕대부가 있다. 참고로 정,종1품의 처를 정경부인 이라고 부른다.

 

정2품에는 육조판서, 대제학, 도총관, 좌참찬, 우참찬, 한성판윤, 중추원지사 등이 있다.

종2품에는 종친이나 왕의 외척에게 주는 봉작으로 가정대부, 가의대부, 가선대부가 있고, 외관직인 관찰사(개성, 강화, 수원, 춘천, 경기도 광주) 유수가 있으며, 육조 참판, 직제학, 대사헌, 승지, 동지사, 포도대장 등이다. 참고로 정,종2품 문무관의 처를 정부인이라 칭한다.

 

정3품에는 당상관인 통정대부 대사간, 부제학, 병조 참지, 육조 참의,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중추원첨지사 등이 있다. 참고로 정3품 당상관 이상의 처를 숙부인이라 칭한다. 정3품이지만 당하관 벼슬에는 통훈대부, 종친의 명선대부, 서반의 절충장군, 어모장군 등이 있다. 어전회의 때 대청 위에 올라가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자를 당상관, 대청 아랫바닥에 앉아 있으면 당하관이다.

종3품에는 홍문관의 전한, 서반의 보의장군, 전공장군 등이 있다. 참고로 정3품 당하관의 처, 종3품의 처를 숙인이라 부른다.

작은 고을 현감은 종6품의 벼슬이다.

 

임금의 자녀는 적자녀, 서자녀 할것 없이 중전과 같이 품계가 없으며, 세자빈은 정1품, 세자의 후궁은 양제(종2품), 양원(종3품), 승휘(종4품)등이 있다.

 

세자 적실의 딸은 군주(정2품)이고 서녀는 현주(정3품)이다. 상감은 전하, 제자는 저하, 중전, 세자빈, 후궁, 공주, 옹주, 대군, 군은 마마라고 부른다. 대군, 군의 부인은 군부인, 중전의 모친, 종친의 처를 부부인, 중전의 친정아버지를 부원군이라 한다. 임금의 사위를 부마, 임금의 장인을 국구라 부르며 정1품 예우를 한다. 궁녀중 상감의 성은을 입으면 최고의 위치는 빈(정1품)에서 최하위로 숙원(종4품)까지는 보장된다.

대전이나 중궁전의 큰상궁은 정5품이다.

 

□ 조선시대의 봉작 및 주요 관직표

후궁
품계
사법,검찰권
(의금부,군기시)
품계
지방관
품계
정1품
의금부 판사
종1품
관찰사(도지사)
종2품
귀인
종1품
의금부 지사
정2품
목사,대도호부사
정3품
소의
정2품
의금부 동지사
종2품
도호부사
종3품
숙의
종2품
의금부 경력
종4품
군수
종4품
소용
정3품
의금부 도사
종5품
아사
정5품
숙용
종3품
의금부 주부
종6품
현령,도사
종5품
소원
정4품
의금부 직장
종7품
현감,교수
종6품
숙원
종4품
의금부 봉사
종8품
 
 
상궁,상의
정5품
의금부 참봉
종9품
 
 
품계
관 직 명
정1품
대군(군 : 정일품에서 종 2품까지). 공신. 부원군(왕비의 친정 아버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부(세자 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위(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함)
감사(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종1품
군. 위.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학(규장각의 관직).
사부(세손 강서원의 관직)
정2품
군. 좌참찬. 우참찬. 판서. 대제학. 지사. 판교(규장각의 관직). 판윤.
좌빈객. 우빈객. 도총관
종2품
군. 참판. 대사헌. 동지사. 관찰사(도의감사). 좌윤. 우윤.
직제학(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
목사(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 좌부빈객. 우부빈객. 제조.
좌유선. 우유선(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정三품까지 있음).
부총관. 중군(정三품까지 있음). 사(무관).
병마절도사(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방어사(종三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 겸사복장. 내금위장. 별장(용호령).
정3품
부위(공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도정. 대사간. 대사정. 참의. 부제학. 도청. 도정원정. 좌유선. 우유선.
첨지사. 직각(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제주. 찬선. 보덕. 겸보덕. 판결사. 대장. 정. 시. 원. 감. 사. 좌통례. 우통례. 판교. 수찬관. 편수관(종三품까지 있음).
참의(이·호·예·병·형·공조), 직제학(조선 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정3품 관직
제검(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종九품까지 있음). 별장(훈련도감).
천총(훈련도감). 상호군. 중군. 진영장(목사가 겸임함). 목사. 사림위장.
부사(대도호부). 국별장. 별후부천총. 기사장. 관성장
종3품
첨위. 부정. 집의. 사간. 전한. 사성. 편수관. 참교. 상례. 익례.
내승(종九품까지 있음). 제거. 제검. 부사. 대호군.
진영장(부사가 겸임함). 절도사. 방어사. 첨절제사.
우후(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 선전관.
정4품
수정. 전첨. 사인. 장령. 시강관. 응교. 진선. 필선. 겸필선. 사예. 사업.
봉례. 호군. 별제(수성금화사의 관직). 첨정(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
도선. 우후. 제검(종四품까지 있음). 직전(집현전)
종4품
경력. 부응교. 서윤. 수(사). 창. 부수. 교감. 부호군. 군수. 유영별장.
성기별장. 파총. 외방겸파총. 선전관. 제검. 동첨절제사. 만호.
정5품
령(종친부의 벼슬). 전부. 검상. 정랑. 지평. 좌익위. 우익위. 사의. 헌납.
시독관. 교리. 겸교리. 문학. 겸문학. 직강. 기주관(종五품까지 있음).
찬의. 별좌(종五품까지 있음). 전훈. 전수. 사직.
종5품
부령(종친부의 벼슬). 판관. 도사(종九품까지 있음). 별좌. 부교리.
좌권독. 우권독. 좌사어. 우사어. 기주관. 령(서). 궁. 고. 현령. 부사직.
선전관.
정6품
감(종친부의 벼슬). 좌랑. 감찰. 사평. 정언. 검토관. 수찬. 사서. 겸사서.
전적. 기사관(정九품까지 있음). 교검. 전악. 사회.
별제(종六품까지 있음). 평사. 사과. 장원. 사포. 좌익찬. 우익찬.
종6품
주학교수. 별전수. 율학교수. 별제. 천문학교수. 지리학교수.
천문학겸교수. 지리학겸교수. 명과학교수. 교수. 부수찬. 좌찬독. 우찬독.
좌위솔. 우위솔. 좌장사. 우장사. 기사관. 인의. 부전악. 사축. 사지.
의학교수. 한학교수. 선화. 부전수. 영(능). 찰방. 현감. 절제도위. 감목관.
종사관. 부장. 낭청(선혜청의 벼슬). 부사과. 수문장(종九품까지 있음).
정7품
주서. 봉교. 대교(정九품까지 있음). 박사. 사변가주서. 사경. 설저.
겸설서. 자의. 전률. 참군. 좌부솔. 우부솔. 낭청. 기사관. 수문장.
종7품
직장. 좌종사. 우종사. 사(호조의 벼슬). 명률. 부전률. 선회. 부사정.
별회.
정8품
사록. 저작. 설경. 학정. 부직장. 좌시직. 우시직. 전음. 대교
별검(종8품까지있음). 사맹.
종8품
계사. 심율. 봉사. 부전음. 별검. 전곡. 화리. 부사맹.
정9품
주학훈도. 율학훈도. 정자. 전경. 검열. 좌세마. 우세마. 학록. 부봉사.
전성. 천문학훈도. 지리학훈도. 명과학훈도. 의학훈도. 한학훈도.
몽학훈도. 왜학훈도. 여진학훈도. 사용.
종9품
회사. 부정자. 분교관. 학유. 겸인의. 가인의. 참봉. 감역관. 가감역관.
부전성. 전화. 회리. 권관. 훈도. 심약. 검률. 부사용. 초관.
품계 품계 별 해당 관직
1 당상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영사, 감사, 세자사, 세자부, 호위대장, 도제조
1 좌찬성, 우찬성, 판사, 세자이사, 세손사, 세손부
2 좌참찬, 우참찬, 지사, 판서, 판윤, 대제학, 세자좌빈객, 세자우빈객, 도총관, 제조
2 동지사, 참판, 좌윤, 우윤, 대사헌, 제조, 제학, 규장각제학, 부총관, 세자좌부빈객, 세자우부빈객, 훈련대장, 금위대장, 어영대장, 수어사, 총융사, 유수, 좌우포도대장, 관찰사, 부윤, 병마절도사, 통어사, 통제사, 군문중군, 금군별장, 방어사
3 당상관 : 도정, 부위, 참의, 참지,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판결사, 대사간, 참찬관, 부제학, 규장각직제학, 대사성, 수찬관, 찬선, 보덕, 첨지, 오위장, 위장, 선전관, 군문별장, 겸사복장, 호위별장, 수군절도사, 병마절도사
당하관 : 첨위, ,직제학, 편수관, 좌유선, 우유선, 판교, 좌통례, 우통례, 찬선, 상호군, 목사, 대도호부사
3 당하관
참상관
첨위, 부정, 집의, 사간, 전한, 사성, 참교, 상례, 편수관, 대호군, 부사, 병마첨절제사,수군첨절제사, 병마우후
4 사인, 장령, 시강관, 응교, 사예, 사업, 봉례, 서윤, 제검, 진선, 필선, 도선, , 전첨, 호군, 수군우후
4 경력, 첨정, 서윤, 부응교, 교감, 제검, 편수관, 좌익선, 우익선, 부호군, 군무파총, 군수, 동첨절, 제사, 병마만호, 수군만호
5 검상, 정랑, 지평, 사의, 헌납, 시독관, 교리, 직장, 기주관, 전부, 찬의, 별좌, 문학, 사직, 익위, 전훈, 전수
5 부교리, 승무원교리, 교서관교리, 사어, 별좌, 판관, , 기주관, 좌권독, 우권독, 부사직, 현령
6 좌랑, 감찰, 사평, 정언, 검토관, 수찬, 전적, 기사관, 교검, 별제, 사서, 익찬, 사회, 사과, 종사관, 평사
6 주부, 부수찬, 기사관, 규장각직각, 좌찬독, 우찬독, 인의, 교수, 겸교수, 위수, 장사, 의금부도사, 오부도사, 별제, 종사관, 부장, 수문장, 부사과, 현감, 찰방, 감목, 병마절제도위
7 참하관 참군, 주서, 가주서, 사경, 박사, 봉교, 기사관, 설서, 자의, 부수, 사정, 수문장
7 직장, 기사관, 종사, 전회, 부사정, 수문장
8 사록, 설경, 저작, 대교, 학정, 부직장, 부검, 좌시직, 우시직, 사맹, 수문장
8 봉사, 전곡, 별검, 기사관, 부사용, 수문장
9 전경, 정자, 기사관, 검열, 학록, 규장각대교, 부봉사, 세마, 훈도, 사용
9 참봉, 탁유, 부정자, 의금부도사, 겸인의, 가인의, 감역, 가감역, 대군사부, 왕자사부, 왕손사부, 왕손교부, 교관, 분교관, 수봉관, 수위관, 부사용, 군문초관, 심약, 검율, 역승, 소모별장
[출처]조선시대 양반의 품계와 해당 관직|작성자 박라라

 

품계 의정부 6 승정원
1 당상관 영의정,
좌우의정
   
1 좌우찬성    
2 좌우참찬 판서(현재, 장관)  
2   참판  
3   참의, 참지(병조) 승지
3 당하관
참상관
     
4 사인    
4      
5 검상 정랑  
5      
6   좌랑  
6   별제  
7 참하관     주서
7      
8 사록    
8      
9      
9
[출처]조선시대 양반의 품계와 해당 관직|작성자 박라라

 

의금부 한성부 성균관 춘추관 경연 세자시강원
정1품



(영사) (영사) (사)
종1품 (판사)







(이사)
정2품 (지사) 판윤 (지사) (지사) (지사) (빈객)
종2품 (동지사) 좌우윤 (동지사) (동지사) (동지사) (부빈객)
정3품

대사성 (수찬관) (참찬관)

종3품

사성 (편수관)

(보덕)
정4품

사예 (편수관) (시감관) (필선)
종4품 경력 서윤

(편수관)



정5품

직강 (기주관) (시독관) (문학)
종5품 도사 판관

(기주관)



정6품

전적 (기사관) (검토관) (사서)
종6품



(기사관)



정7품 참군 박사 (기사관) (사경) (설서)
종7품



(기사관)



정8품

학정 (기사관) (설경)

종8품









정9품

학록 (기사관) (전경)

종9품

학유

[출처]조선시대 양반의 품계와 해당 관직|작성자 박라라

 

품계
관직(집현전)
정원
집현전(비고)
관직(중추원)
정원
중추원(비고)
정1품
영전사(領殿事)
2명
겸직
영사(領事)
1명
1436년 신설
정2품
대제학(大提學)
2명
겸직
판사(判事)
1명
 
종2품
제학(提學)
2명
겸직
사(使)
지사(知事)
동지사(同知事)
첨사(僉事)
부사(副使)
학사(學士)
상의원사(商議院事)
1명
1명
4명
1명
6명
1명
3명
 
정3품
부제학(副提學)(당상관)
1명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각1명
이조,병조,형조
병조
호조
예조
공조
형조(지형조사)호조
종3품
직제학(直提學)
1명
 
 
 
 
정4품
직전(直殿)
1명
 
 
 
 
종4품
응교(應敎)
1명
 
 
 
 
정5품
교리(校理)
1명
부검토(副檢討)를 겸임.
 
 
 
종5품
부교리(副校理)
1명
부검토(副檢討)를 겸임.
 
 
 
정6품
수찬(修撰)
1명
부검토(副檢討)를 겸임.
 
 
 
종6품
부수찬(副修撰)
1명
부검토(副檢討)를 겸임.
 
 
 
정7품
박사(博士)
1명
 
당후관(堂後官)
연리(椽吏)
2명
6명
거관
정8품
저작(著作)
1명
 
 
 
 
정9품
정자(正字)
1명
 
 
 
 
 

 

728x90
반응형